게시물 검색
검색
로그인
회원가입
재생
정지
미감상
소셜 네트워크와 정체성 놀이
소셜네트워크와 정체성 놀이 : 트위터 봇 사례연구를 중심으로
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6361292
1
kwonna
이 연구는 ‘트위터 봇’ 현상을 SNS 사용자들의 쌍방향적인 "정체성 놀이"의 맥락에서 접근하고, 트위터 봇과 봇 팔로워간의 상호작용 방식에 대한 질적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.
먼저 이 연구는 사이버공간의 사용자정체성에 대한 연구경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사이버사용자 정체성의 구성적이고 수행적이고 놀이적인 특성에 주목한다.
다음으로, 이 연구는 트위터 봇 가운데 역할놀이적인 상호작용성이 뚜렷한 캐릭터 봇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 주요 연구방법은 의도하지 않은 참여관찰과 온 오프라인 심층면접같은 문화기술지이며, 연구참여자는 트위터 봇 계정 관리자와 트위터 봇 팔로워들이다.
분석 내용을 개략하면 다음과 같다.
첫째, 트위터 봇은 ‘역극’을 통해 작품 혹은 작품 내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며, 이 때 트위터 봇의 캐릭터 정체성은 주어진 상황, 즉 ‘세계관’에 기반하여 재현된다.
둘째, 다른 한편으로, 트위터 봇의 정체성은 상당부분 유동적인데, 이것은 캐릭터의 상황적 변형과 함께, 성별이나 나이, 성격을 전격적으로 교체하는 ‘캐릭터변화’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.
셋째, 트위터 봇과 그 팔로워들은 특정한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순한 가면놀이에서 나아가, 봇 참여자들 상호간의 재미와 정서적 친밀감을 강화하는 놀이적 상호작용을 지속한다.
07.11 02:42
이 연구는 ‘트위터 봇’ 현상을 SNS 사용자들의 쌍방향적인 "정체성 놀이"의 맥락에서 접근하고, 트위터 봇과 봇 팔로워간의 상호작용 방식에 대한 질적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. 먼저 이 연구는 사이버공간의 사용자정체성에 대한 연구경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사이버사용자 정체성의 구성적이고 수행적이고 놀이적인 특성에 주목한다. 다음으로, 이 연구는 트위터 봇 가운데 역할놀이적인 상호작용성이 뚜렷한 캐릭터 봇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 주요 연구방법은 의도하지 않은 참여관찰과 온 오프라인 심층면접같은 문화기술지이며, 연구참여자는 트위터 봇 계정 관리자와 트위터 봇 팔로워들이다. 분석 내용을 개략하면 다음과 같다. 첫째, 트위터 봇은 ‘역극’을 통해 작품 혹은 작품 내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며, 이 때 트위터 봇의 캐릭터 정체성은 주어진 상황, 즉 ‘세계관’에 기반하여 재현된다. 둘째, 다른 한편으로, 트위터 봇의 정체성은 상당부분 유동적인데, 이것은 캐릭터의 상황적 변형과 함께, 성별이나 나이, 성격을 전격적으로 교체하는 ‘캐릭터변화’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. 셋째, 트위터 봇과 그 팔로워들은 특정한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순한 가면놀이에서 나아가, 봇 참여자들 상호간의 재미와 정서적 친밀감을 강화하는 놀이적 상호작용을 지속한다.
2
kwonna
목차
Ⅰ. 트위터봇, 상호작용하는 기계?
Ⅱ. 사이버공간에서 정체성의 구성, 그리고 놀이
Ⅲ. 연구방법 및 연구과정
Ⅳ. 사례분석: 쌍방향 정체성 놀이로서 트위터봇
Ⅴ. 트위터 봇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에 대하여
참고문헌
07.11 02:42
목차 Ⅰ. 트위터봇, 상호작용하는 기계? Ⅱ. 사이버공간에서 정체성의 구성, 그리고 놀이 Ⅲ. 연구방법 및 연구과정 Ⅳ. 사례분석: 쌍방향 정체성 놀이로서 트위터봇 Ⅴ. 트위터 봇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참고문헌
먼저 이 연구는 사이버공간의 사용자정체성에 대한 연구경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사이버사용자 정체성의 구성적이고 수행적이고 놀이적인 특성에 주목한다.
다음으로, 이 연구는 트위터 봇 가운데 역할놀이적인 상호작용성이 뚜렷한 캐릭터 봇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 주요 연구방법은 의도하지 않은 참여관찰과 온 오프라인 심층면접같은 문화기술지이며, 연구참여자는 트위터 봇 계정 관리자와 트위터 봇 팔로워들이다.
분석 내용을 개략하면 다음과 같다.
첫째, 트위터 봇은 ‘역극’을 통해 작품 혹은 작품 내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며, 이 때 트위터 봇의 캐릭터 정체성은 주어진 상황, 즉 ‘세계관’에 기반하여 재현된다.
둘째, 다른 한편으로, 트위터 봇의 정체성은 상당부분 유동적인데, 이것은 캐릭터의 상황적 변형과 함께, 성별이나 나이, 성격을 전격적으로 교체하는 ‘캐릭터변화’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.
셋째, 트위터 봇과 그 팔로워들은 특정한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순한 가면놀이에서 나아가, 봇 참여자들 상호간의 재미와 정서적 친밀감을 강화하는 놀이적 상호작용을 지속한다.
Ⅰ. 트위터봇, 상호작용하는 기계?
Ⅱ. 사이버공간에서 정체성의 구성, 그리고 놀이
Ⅲ. 연구방법 및 연구과정
Ⅳ. 사례분석: 쌍방향 정체성 놀이로서 트위터봇
Ⅴ. 트위터 봇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에 대하여
참고문헌